분류 전체보기 32

패킷 트레이서 개념 다잡기-1

패킷트레이서를 다룰 수 있으면 네트워크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패킷트레이서의 정의는 라우터와 스위치 장비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중 시스코 회사에서 개발한 GUI이다. 패킷트레이서에서는 IPS와 무선랜 보안과 관련 된 내용을 실습할 수 있고 HTTP, DNS, DHCP, TCP, IP에서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들이 QoS Modeling과 함께 포함되어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 재분배 등을 실습 가능하며 스위치 장비인 L3라우팅에 대한 학습 또한 가능하다. 시스코 패킷트레이서 설치 시스코 패킷트레이서 공시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www.netacad.com/courses/packet-tracer Cisco Packet Tracer - Net..

git이란 무엇일까

Git & Git Hub? Git GitHub 라는 용어를 한번 쯤은 들어 보았을 것이다. 개발자들이 '소스 깃에 업로드 했어"와 같이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버전을 다루는 일종의 도구이며 Git을 한번 익혀 두면 추후 회사에서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버전이해 쉽게 버전이라고 하면 애플리케이션 버전, OS버전, ios버전, 안드로이드 버전 등이 떠오르게 된다. 버전은 유의미한 변화가 결과물로 저장된 것을 의미한다. 주로 기능이 새로 추가되거나 오류를 수정되었을 때 새로운 버전 이라고 한다. Git 설치 사이트 주소: https://git-scm.com 위 사이트에서 Git설치가 가능하다. 버전은 최신버전과 하위버전 둘 다 아무거나 설치해도 무방하다. 필..

git & github 2023.09.11

해킹훈련장 서버 복구 작업

한참 보안에 관심을 갖게 되었을 때 해킹훈련장 서버를 구축하여 Kali 리눅스를 학습해보고 DVWA 해킹 훈련을 했었는데 바로 어제 리눅스 원격 서버 작업 중에 서버가 다운되버렸다. Kali 릴리즈 업데이트 안한지 오래 되었기도 했고 올것이 왔구나 싶어 바로 복구 작업을 진행하였다. 서버 재부팅 후 복구모드로 진입하였지만 무한 재부팅 현상이 나타났다. 몇번을 반복적으로 복구모드 진입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했다. 결국 바이오스 다시 설치하기로 결정을 했다. 일반 PC였으면 설치 파일을 바로 다운받으면 되지만 서버용 PC라서 바이오스 부팅 자체가 리눅스로 지정되어 있다. 안쓰는 USB가 남아 있어 포맷을 진행한 후 image파일 설치를 진행했다. 생각보다 시간이 소비되었고 설치되는 동안 부팅USB를 만들 수 있..

보안 Security 2023.08.16

하드디스크 랙 설치

이번 시간에는 PC에 하드디스크 랙을 설치해보려합니다. 다양한 작업을 하면서 데이터 백업할 일이 많아져서 지금까지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용량이 차가면서 추가 요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PC에 하드디스 랙을 설치하였습니다. PC케이스 확인 요즘 PC케이스에 CD룸 공간이 대부분 없습니다. 필자도 CD룸 공간이 없는 케이스여서 외부로 노출시킬 수 밖에 없었습니다. 작업하기 전에 항상 메인전원을 차단한 후 진행해야합니다. 파워케이블과 SATA케이블 위치 확인 및 동선 파악 위치를 파악해야 되는 이유는 합선이 될 수도 있고 쿨러에 닿지 않게 조심해야 되기 때문에 위치를 파악해야합니다. 케이블 위치 선정을 하였다면 케이블이 상하지 않게 테이핑 작업을 합니다. PC케이스 외부 부분..

가상머신 VirtualBox 환경 구축과 kali리눅스 설치방법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는 VMware가상 머신 환경 구축이 어려운 경우 대체할 수 있는 VirtualBox 설치과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VirtualBox 가상머신 설치 아래 사이트에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https://www.virtualbox.org/ www.virtualbox.org 사이트 접속후 설치할 OS에 맞는 설치파일을 찾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대표사진 삭제 메인사이트 필자는 윈도우OS이기 때문에 WindowOS 설치파일로 다운받습니다. MacOS같은 경우 인텔기반 전용 설치파일 밖에 없기 때문에 실리콘 기반 맥 경우에는 UTM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설치파일을 열게 되면 기본 설정 그대로 두고 설치 진행을 하면 됩니다. 이렇게 설치를 마치면 아래와 같이 VirtualBox메인화면이 나오게..

Linux 2023.08.02

LAN과 WAN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기

LAN 과 WAN의 정의 와 차이점 공유기를 설치할 때 LAN과 WAN이 구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AN의 역할은 거점 내 기기 끼리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직접 구축이 가능하며 관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고 WAN은 거점인 LAN끼리 서로 연결하며 통신사업자가 구축하고 관리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인터넷의 특징 인터넷은 다양한 조직의 네트워크인 *AS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따라 고정 회선이나 모바일 회선으로 *ISP와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 전 세계 다양한 조직이 관리하는 네트워크가 연결되는데 이때 그 조직의 네트워크를 AS라고 불린다. *ISP: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NTT 커뮤니케이션즈 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프로..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살펴보기_vi편집기 명령어

리눅스 운영체제를 수월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각 명령어에 대해서는 숙지가 필요합니다. 처음 명령어 사용할 때는 익숙지 않아서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오래 걸리는데 자주 사용하다 보면 필요에 따라 해당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 전... vi편집기에 대해 간단히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vi 편집기에는 명령모드, 입력모드, 마지막행 모드가 있습니다. 명령 모드(Command Mode): vi편집기를 시작할 때, 단축키를 사용해 이동, 복사/ 붙여 넣기 등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입력모드에서 [esc]키로 명령모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입력모드(Insert Mode): 명령모드에서 단축키 a,i,o,A,I,O를 입력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행 모드(Last Line Mode)..

Linux 2023.07.18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아두이노? 아두이노는 물리적인 세계를 감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장치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도구라고 보면 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의미한다. 이제 아두이노 프로그램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포털사이트에 '아두이노'를 서치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서치결과가 나오게 된다.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아두이노 메인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상단에 보게 되면 SOFTWARE가 보이게 된다. 여기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면 된다.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에 들어왔다면 'Downloads'바로 밑에 Arduino 2.0.1이라는 칸이 보이게 된다. 여기서 윈도우 버전, 맥버전, 리눅스 버전 을 선택하게 나오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PC..

Arduino아두이노 2023.07.18

Wireshark 패킷 기능에 대해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는 와이어샤크(Wireshark) 패킷 필터 기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와이어 샤크는 패킷 분석을 할 때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패킷 필터 기능에 대해 잘 숙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패킷 필터에는 캡처 필터, 화면 필터가 있는데 이 필터는 winpcap 드라이브를 통해 필터가 캡처되게 됩니다. 캡처 필터 같은 경우 http, tcp 종류의 패킷을 캡처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위 사진과 같이 'Capture filter for selected interfaces'부분에 캡처하고자 하는 필터를 입력하면 초록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만약 필터를 잘못입력 했다면 적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필터 입력 후 Start를 누르게 되면 해당 필터에 맞게 패킷이 캡쳐됩니다..

#2. 네트워크 기본적인 개념 마무리

이전 내용에 이어 네트워크 기본적 단어 및 개념을 익혀보려 합니다. https://js-it.tistory.com/38 #1.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리소스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 *노드(Node): 네트워크에서 연결 포인트 혹은 데이터의 전송의 종점을 의미 *링크(link): 연결매체를 의미 트래 js-it.tistory.com 이전 글은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패킷(Packet) 패킷은 네트워크 중 가장 자주 쓰이는 단어이며, 네트워크를 학습한다면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단어이기도 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게 자른 데이터의 단위를 의미합니다. 쉽게 통신을 주고 받는 통로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바이패스(Bypass) 바이패스..